크레스티드게코 FAQ
-
[먹이]
Q. 밥을 먹지 않아요.
A.
1. 배가 불러서 안 먹는 것 일 수 있습니다. 위에서 보았을 때 배가 어느 정도 빵빵한 지 확인이 필요합니다.(머리 간격과 배 간격이 비슷하면 배가 부른 것)
2. 슈퍼 푸드 농도가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전에 먹던 사료와 향이 달라 먹지 않을 수 있습니다.
4. 분양 후 일주일 정도 적응 기간에는 먹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급격한 온도 변화로 먹지 않을 수 있습니다.
여름, 겨울 온도 신경 써주시기 바랍니다.
Q. 자율은 언제부터 할 수 있나요? 자율을 시도했는데 개체가 안 먹어요.
A.
1. 성장기 개체들은 핸드 피딩을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핸드 피딩이 잘 되는 개체들이 자율도 잘 먹습니다.
2. 자율이 익숙하지 않은 개체들은,
익숙해질 때까지 같은 자리에 그릇을 놓아주세요.
Q. 귀뚜라미/밀웜 꼭 먹여야 하나요?
A.
1. 귀뚜라미 급여가 필수는 아니지만 크레에게 고단백 식품이기 때문에
성장기 크레에게는 먹여주시는 게 좋습니다.
2. 죽은 귀뚜라미는 먹이시면 안 됩니다. (야생 귀뚜라미 금지)
3. 밀웜은 키틴질이 두꺼워 크레가 소화하기 힘들 수 있기에 추천을 드리지 않습니다.
Q. 집을 비울 때 분무/먹이는 어떡하나요?
A.
1. 3일 이상 장기간일 경우에는 매장에 호텔링을 맡기시는 걸 추천을 드립니다.
2. 2일 정도 비우실 때는 자율로 먹도록 물그릇, 밥그릇을 챙겨주세요.
3. 여름철에는 온도가 30도가 넘기 때문에 에어컨을 틀어주실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호텔링을 추천을 드립니다.
4. 겨울철에 20도 이하일 경우, 호텔링을 추천을 드립니다.
[탈피]
Q. 탈피한 것을 본 적이 없어요. 탈피를 잘 하고 있는 걸까요? 탈피 주기는 어떻게 되나요?
A.
1. 크레는 보통 밤에 탈피를 하고, 본인이 탈피한 것을 먹습니다. (안 먹을 수도 있음)
2. 탈피는 주기가 따로 없습니다.
(성장기에 자주 하고, 성장이 멈춘 성체가 되어서도 함)
Q. 탈피 껍질이 남아 있어요. 떼어주어야 하나요?
A.
1. 보통은 다음 탈피 때 같이 벗겨집니다.
단, 발바닥 부분과 꼬리를 조이고 있는 껍질이라면 떼어주시는 게 좋습니다. (분무해서 껍질을 불린 후, 핀셋 또는 치간 칫솔 사용)
*매장으로 데려오시면 도와드립니다*
2. 분무량이 과한 경우 또는 부족한 경우, 환기가 원활하지 않은 경우
탈피를 잘 하지 못합니다. 분무량은 3~4시간 안에 마를 수 있을 정도로 해주시고,
잘 마르지 않는 공간이면 공기 순환이 잘 되는 곳으로 옮겨주세요.
장마철이나 습할 때에는 하루 1회 분무,
겨울철이나 건조할 때에는 하루 2회 분무 + 물그릇을 넣어주시면 됩니다.
[자세/공간]
Q. 아침부터 저녁까지 계속 같은 자세로 있어요. 괜찮은 건가요?
A.
1. 크레는 야행성이기 때문에 낮에는 주로 같은 자세로, 어두운 곳에서 휴식을 취합니다.
2. 물구나무 자세로 장시간 있으면 FTS(플로피테일 증후군)이 올 수 있습니다.
벽에 구조물 보강해 주시고, 낮은 사육장으로 옮겨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Q. 집이 작아 보여서 넓은 곳으로 옮겨주고 싶어요.
A. 개체에 비해 너무 넓은 공간에 사육하시면 예민해질 수 있습니다.
권장 사육장 크기에 사육하시는 것을 추천을 드리며, 한 사이즈 큰 사육장에 키우시게 된다면 구조물을 많이 넣어주세요.
[온도]
Q. 여름철 온도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에어컨이 필수일까요?
A.
30도가 넘는 여름에는 에어컨이 필수입니다. 에어컨을 가동할 수 없다면, 아이스팩에 수건을 감싸서 사육장 위/옆/내부에 두시면 됩니다.
Q. 겨울철 온도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 보일러가 필수일까요? 전기장판을 사용하면 되나요?
A.
1. 크레는 고온에 취약한 생물입니다. 보일러를 틀어주실 경우, 직접적으로 열선이 닿는 공간에 두시면 안됩니다. 땅과 단차를 두어서, 테이블 위에다 두시면 됩니다.
2. 전기장판이나 난로를 통한 열이 직접적으로 크레에 닿게 될 경우 위험합니다.
[습도]
Q. 습도가 분무 직후에는 90, 마르고 나면 20이 나옵니다. 개체한테 괜찮을까요?
A.
크레가 살던 환경은 건습이 반복되던 곳이었습니다. 문제가 없습니다.
Q. 분무는 하루에 몇 번 해주어야 하나요?
A.
분무는 하루에 1~2번이 적합합니다.
여름 장마철 습할 때에는 한 번만 분무해주셔도 됩니다.
Q. 겨울철 너무 건조하면 가습기를 틀어주는 게 좋을까요?
A.
건조할 때에는 하루 2회 분무, 추가로 물그릇을 놓아 주시는 게 좋습니다. 가습기 사용도 좋지만 사육장 내부에 틀어주실 필요는 없습니다.
*과하게 습해지면 탈피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성별]
Q. 성별은 몇 그램부터 알 수 있나요?
A.
대체로 6g~10g부터 알 수 있습니다.
개구리 FAQ
-
[먹이]
Q. 개구리는 하루에 몇 번 분무해주는 것이 좋은가요?
A.
피부 호흡을 하기 때문에 하루에 3~5회 분무를 해주셔야 하고,
넓고 얕은 물그릇도 놓아주셔야 합니다. (물그릇은 매일 교체)
Q. 개구리 집 청소는 어느 주기로 해주나요?
A.
2일에 1번 무조건 물청소를 해주셔야 합니다.
피부 호흡을 하기에 청결 유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Q. 개구리도 핸들링할 수 있나요?
A.
개구리는 사람 체온에 화상을 입습니다. 그래서 비닐장갑 착용하시고 차가운 물로 손을 씻어 온도를 낮춰준 후에 핸들링을 해주셔야 합니다.
레오파드게코 FAQ
-
Q. 여름에 집안 온도가 높으면 사육장 열원 전원을 꺼도 되나요?
A.
핫존과 쿨존이 구분되어야 하기에 켜주셔야 합니다.
Q. 분무를 사육장 벽면 전체에 하면 될까요?
A.
레오파드 게코는 건계종이므로 사육장이 습한 건 좋지 않습니다. 열원이 없는 쿨존으로 하루 1회 분무를 권장을 드리고, 탈피 시에만 평소보다 3배 많이 분무해주시면 됩니다.
Q. 칼슘은 밥 먹을 때 항상 줘야 하나요?
A.
최소 주 1회는 주셔야 합니다.
육지거북 FAQ
-
Q. 자동온도조절이 되는 사육장을 사용 중입니다. 스팟은 9시 이후에 꺼도 되나요?
A.
육지 거북은 야간에 23도 이하로 내려가면 안됩니다.
겨울철 밤에 집안 온도가 23도 이상이면 전체 전원을 꺼주셔도 되고, 23도 이하라면 스팟은 켜주셔야 합니다.
Q. 밥을 너무 잘 먹어요. 매일 밥을 줘도 되나요?
A.
거북이는 채식이라 소화가 빠르기에 주 6일 급여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하루는 장을 비우는 시간을 주셔야 하기에, 주 6일 급여까지만 권장 드립니다.
Q. 거북이가 뒤집어질 때마다 똑바로 뒤집어주면 되나요?
A.
거북이는 폐가 등갑 위쪽에 있어서, 뒤집으면 장기가 폐를 눌러 숨을 못 쉽니다.
뒤집어졌을 때 혼자 일어나는 연습도 필요하기에, 3분 정도 지켜보시고, 3분이 지나도 혼자 못 일어나면 뒤집어져야 합니다.
Q. 거북이 핸들링을 자주 해도 괜찮나요?
A.
하루 10분 이하로 핸들링하는 것을 권장을 드리며, 실내 온도 23이하 일 시에는 사육장 내부에서만 핸들링하셔야 합니다.
카멜레온 FAQ
-
Q. 카멜레온은 키우기 많이 어렵나요?
A.
카멜레온 환기/습도/온도를 다 맞춰줘야 하기에 사육난이도가 있는 편입니다.
하루에 3~5회 벽면 전체 분무 또는 드로퍼나 미스팅기 설치 필수입니다.
Q. 카멜레온 사육장이 커야 하나요?
A.
카멜레온은 교목성 종이기 때문에 높이가 높은 사육장을 해주셔야 합니다.(성체 기준 – 가로45cm, 세로45cm, 높이60cm 이상)
그리고 발이 집게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가지 유목/바인을 넣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